[건강검진 정보 시리즈 1] 건강검진표, 어디부터 봐야 할까?– 기본 항목 해석 가이드
“건강검진 받았는데… 뭘 봐야 할지 모르겠어요.”
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검진표를 끝까지 못 읽고 서랍 속에 넣어두곤 합니다.
하지만, 건강검진 결과지에는 '내 몸의 현재 상태'에 대한 중요한 단서가 담겨 있습니다.
오늘 글에서는 처음 건강검진표를 마주한 사람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, 핵심 항목 5가지를 중심으로 보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- 건강검진표, 이렇게 구성되어 있어요
대부분의 건강검진표는 다음과 같은 섹션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- 신체 계측 – 키, 몸무게, 체질량지수(BMI), 허리둘레
- 혈액검사 – 혈당, 콜레스테롤, 간수치, 신장기능 등
- 소변검사 – 단백뇨, 잠혈 등
- 흉부X선·심전도 등 영상검사
- 의사 종합 소견 – 건강나이, 재검 권고 여부 등
이 중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 항목 5가지를 알려드립니다.
1. 체질량지수(BMI) & 허리둘레
- BMI 18.5~22.9 정상(대한 비만학회 제시. 아시아인 기준)
- 세계 보건기구(WHO) 기준은 18.5~24.9를 정상으로 하고 있습니다.
- 허리둘레: 남 90cm↑, 여 85cm↑이면 복부비만. 내장지방 위험
👉 비만이 다양한 질병의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. 단순히 체중이나 BMI 수치만이 아니라, '내장지방'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2. 공복 혈당 & 당화혈색소(HbA1c)
- 공복혈당: 70~99mg/dL
- 100~125mg/dL: 공복혈당장애(= 당뇨 전 단계)
- 당화혈색소 5.7% 이상: 혈당 관리 필요 신호
👉 공복혈당 수치만으로는 정확한 장기적인 혈당 상태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. 당화혈색소 수치까지 함께 확인하여 꾸준한 혈당 관리가 필요한지 살펴야 합니다.
3. 간 기능 수치 (AST, ALT, r-GTP)
- AST/ALT: 간세포 손상 여부
- r-GTP: 음주, 지방간, 담즙 정체 등
👉 특히 r-GTP가 높다면 음주 습관을 점검하고 필요하다면 개선해야 합니다.
4. 총 콜레스테롤, LDL, HDL, 중성지방
- LDL (나쁜 콜레스테롤) 130mg/dL↑: 주의
- HDL (좋은 콜레스테롤) 40mg/dL↓: 위험
- 중성지방 150mg/dL↑: 주의
👉 혈관 건강 상태는 총 콜레스테롤 수치뿐 아니라, LDL, HDL, 중성지방 수치를 함께 조합하여 판단해야 합니다.
5. 혈압
- 정상: 120/80mmHg 미만
- 130/85mmHg 이상: 고혈압 전 단계
👉 혈압이 한 번 높게 나왔다고 해서 바로 고혈압으로 진단되는 것은 아니지만, 지속적으로 높다면 정밀 검사나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합니다
- 의사 소견 요약란, 꼭 읽으세요
건강검진표 마지막 부분에는 종합 판정과 주의 요망 항목이 요약되어 있습니다.
이곳에 ‘주의’, ‘재검’, ‘유소견’ 등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다면 반드시 해당 내용을 확인하고 전문의와 상담해야 합니다.
✔ ‘정상’이라고 해도 모든 수치가 안전한 건 아닙니다.
✔ '주의 요망'은 대부분 식습관, 운동 습관 개선으로 조절 가능해요.
📝 정리: 건강검진표 제대로 읽는 법 5단계
- 체중, 허리둘레로 대사 위험 확인
- 혈당 & 당화혈색소로 당뇨 위험 점검
- 간수치 & r-GTP로 간 건강 상태 체크
- '혈중지질(콜레스테롤류)'로 혈관 나이 가늠
- 의사 종합 소견 꼭 읽고, 재검 권고 여부 확인
건강검진 결과지는 내 몸이 보내는 경고음을 기록한 리포트입니다.
단순히 현재의 수치만 보기보다는, 이전 검진 결과와 비교하여 수치의 변화 방향성을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.
#건강검진결과표해석 #건강검진항목 #건강검진읽는법 #혈액검사수치해석 #간수치해석 #콜레스테롤수치 #검진표해석방법 #혈압수치정상범위 #건강수치해석 #기초건강검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