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강이야기/생활건강상식

[건강검진 정보 시리즈 3] 간수치·지방간·B형간염 항목,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?– 간 기능 항목 해석 가이드

stepvision 2025. 5. 31. 13:41
반응형

건강검진 결과지를 보다 보면 낯선 용어들이 눈에 띄죠.
AST, ALT, r-GTP, B형간염 항체, 지방간 소견… 
전부 간 건강과 관련된 항목들입니다.

하지만 이 수치들만 가지고 내 간이 괜찮은지 아닌지를 판단하긴 어렵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간 관련 항목을 쉽고 정확하게 해석하는 법을 알려드립니다.

간 기능 검사, 어떤 수치들이 있나요?

1. AST (GOT)

  • 정상범위: 10~40 U/L
  • 간뿐 아니라 심장, 근육의 손상 시에도 상승할 수 있음

2. ALT (GPT)

  • 정상범위: 10~40 U/L
  • ALT는 간에서만 주로 분비 → 간세포 손상 여부 판단에 더 민감

3. γ-GTP (r-GTP)

  • 정상범위:
    • 남성 < 60 U/L
    • 여성 < 40 U/L
  • 음주, 담도 이상, 지방간에서 주로 상승

간수치 해석법: 수치보다 ‘패턴’이 중요합니다

패턴 의미
ALT↑, AST 정상 비알콜성 지방간 의심
AST↑, ALT↑ 급성 간염, 음주성 간염 가능
r-GTP 단독↑ 과음, 약물, 담도 질환 가능성
모두 정상인데 초음파 지방간 소견 지방간 초기 단계 – 식습관 개선 필요
 

ALT가 AST보다 더 높을 때, 지방간이나 간염 가능성이 큽니다.
✔ 단기간 폭음 후에도 수치가 일시적으로 오를 수 있으니 추적 검사 중요!

B형간염 검사 항목, 어떻게 해석하나요?

B형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 여부와 감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항목들입니다.

항목 의미
HBsAg (표면항원) +면 감염자, -면 비감염자
HBsAb (표면항체) +면 면역 있음, -면 면역 없음
HBcAb (핵항체) 과거 감염 이력 여부 (양성 시 재활성 가능성 존재)
 

✔ HBsAg 양성 + HBsAb 음성 → 현재 B형간염 보균자 혹은 감염자
✔ HBsAb 양성 → 과거 감염 후 회복 or 백신 효과

초음파 ‘지방간’ 소견이 떴다면?

검진에서 '지방간 의심' 소견을 받은 경우, 아래 질문들을 확인해보세요.

  • 최근 음주량은 얼마나 되나요?
  • 단 음료, 고지방 식습관은 어떤가요?
  • 체중이 늘었거나 복부비만이 있진 않나요?

👉 지방간은 증상이 없지만, 간염·간경화·심혈관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.

요약: 간 관련 검진 수치 해석 TIP

항목 체크포인트
AST/ALT ALT가 높으면 간세포 손상 가능성 ↑
r-GTP 음주량과 관계해 해석 필요
지방간 초음파 수치 정상이어도 지방간 소견 시 관리 시작
B형간염 항목 HBsAg 양성 시 병원 진료 필요
 

 

간은 ‘침묵의 장기’라고 불립니다.
수치가 정상이어도 간에서 보내는 신호는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.
검진표 속 간 항목들, 이번 기회에 꼭 한 번 제대로 들여다보세요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