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간수치해석2

[건강검진 정보 시리즈 3] 간수치·지방간·B형간염 항목,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?– 간 기능 항목 해석 가이드 건강검진 결과지를 보다 보면 낯선 용어들이 눈에 띄죠.AST, ALT, r-GTP, B형간염 항체, 지방간 소견… 전부 간 건강과 관련된 항목들입니다.하지만 이 수치들만 가지고 내 간이 괜찮은지 아닌지를 판단하긴 어렵습니다.이번 글에서는 간 관련 항목을 쉽고 정확하게 해석하는 법을 알려드립니다.간 기능 검사, 어떤 수치들이 있나요?1. AST (GOT)정상범위: 10~40 U/L간뿐 아니라 심장, 근육의 손상 시에도 상승할 수 있음2. ALT (GPT)정상범위: 10~40 U/LALT는 간에서만 주로 분비 → 간세포 손상 여부 판단에 더 민감3. γ-GTP (r-GTP)정상범위:남성 여성 음주, 담도 이상, 지방간에서 주로 상승간수치 해석법: 수치보다 ‘패턴’이 중요합니다패턴의미ALT↑, AST 정상비알.. 2025. 5. 31.
[건강검진 정보 시리즈 1] 건강검진표, 어디부터 봐야 할까?– 기본 항목 해석 가이드 “건강검진 받았는데… 뭘 봐야 할지 모르겠어요.”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검진표를 끝까지 못 읽고 서랍 속에 넣어두곤 합니다.하지만, 건강검진 결과지에는 '내 몸의 현재 상태'에 대한 중요한 단서가 담겨 있습니다.오늘 글에서는 처음 건강검진표를 마주한 사람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, 핵심 항목 5가지를 중심으로 보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- 건강검진표, 이렇게 구성되어 있어요대부분의 건강검진표는 다음과 같은 섹션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신체 계측 – 키, 몸무게, 체질량지수(BMI), 허리둘레혈액검사 – 혈당, 콜레스테롤, 간수치, 신장기능 등소변검사 – 단백뇨, 잠혈 등흉부X선·심전도 등 영상검사의사 종합 소견 – 건강나이, 재검 권고 여부 등이 중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 항목 5가지를 알려드립니다... 2025. 5. 29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