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건강검진 결과지를 보다 보면 낯선 용어들이 눈에 띄죠.
AST, ALT, r-GTP, B형간염 항체, 지방간 소견…
전부 간 건강과 관련된 항목들입니다.
하지만 이 수치들만 가지고 내 간이 괜찮은지 아닌지를 판단하긴 어렵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간 관련 항목을 쉽고 정확하게 해석하는 법을 알려드립니다.
간 기능 검사, 어떤 수치들이 있나요?
1. AST (GOT)
- 정상범위: 10~40 U/L
- 간뿐 아니라 심장, 근육의 손상 시에도 상승할 수 있음
2. ALT (GPT)
- 정상범위: 10~40 U/L
- ALT는 간에서만 주로 분비 → 간세포 손상 여부 판단에 더 민감
3. γ-GTP (r-GTP)
- 정상범위:
- 남성 < 60 U/L
- 여성 < 40 U/L
- 음주, 담도 이상, 지방간에서 주로 상승
간수치 해석법: 수치보다 ‘패턴’이 중요합니다
패턴 | 의미 |
ALT↑, AST 정상 | 비알콜성 지방간 의심 |
AST↑, ALT↑ | 급성 간염, 음주성 간염 가능 |
r-GTP 단독↑ | 과음, 약물, 담도 질환 가능성 |
모두 정상인데 초음파 지방간 소견 | 지방간 초기 단계 – 식습관 개선 필요 |
✔ ALT가 AST보다 더 높을 때, 지방간이나 간염 가능성이 큽니다.
✔ 단기간 폭음 후에도 수치가 일시적으로 오를 수 있으니 추적 검사 중요!
B형간염 검사 항목, 어떻게 해석하나요?
B형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 여부와 감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항목들입니다.
항목 | 의미 |
HBsAg (표면항원) | +면 감염자, -면 비감염자 |
HBsAb (표면항체) | +면 면역 있음, -면 면역 없음 |
HBcAb (핵항체) | 과거 감염 이력 여부 (양성 시 재활성 가능성 존재) |
✔ HBsAg 양성 + HBsAb 음성 → 현재 B형간염 보균자 혹은 감염자
✔ HBsAb 양성 → 과거 감염 후 회복 or 백신 효과
초음파 ‘지방간’ 소견이 떴다면?
검진에서 '지방간 의심' 소견을 받은 경우, 아래 질문들을 확인해보세요.
- 최근 음주량은 얼마나 되나요?
- 단 음료, 고지방 식습관은 어떤가요?
- 체중이 늘었거나 복부비만이 있진 않나요?
👉 지방간은 증상이 없지만, 간염·간경화·심혈관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.
요약: 간 관련 검진 수치 해석 TIP
항목 | 체크포인트 |
AST/ALT | ALT가 높으면 간세포 손상 가능성 ↑ |
r-GTP | 음주량과 관계해 해석 필요 |
지방간 초음파 | 수치 정상이어도 지방간 소견 시 관리 시작 |
B형간염 항목 | HBsAg 양성 시 병원 진료 필요 |
간은 ‘침묵의 장기’라고 불립니다.
수치가 정상이어도 간에서 보내는 신호는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.
검진표 속 간 항목들, 이번 기회에 꼭 한 번 제대로 들여다보세요.
반응형
'건강이야기 > 생활건강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건강검진 정보 시리즈 5] 심장과 혈관, 위험 신호는 여기 있다– 심전도·혈압·중성지방 해석법 (0) | 2025.06.02 |
---|---|
[건강검진 정보 시리즈 4] 신장·요소 질소(BUN)·크레아티닌, 콩팥 건강을 말하다– 신장 기능 검사 해석 가이드 (1) | 2025.06.01 |
[건강검진 정보 시리즈 2] 혈액검사 수치, 정상인데 왜 불안할까? - 꼭 짚어야 할 수치 해석법 (2) | 2025.05.30 |
[건강검진 정보 시리즈 1] 건강검진표, 어디부터 봐야 할까?– 기본 항목 해석 가이드 (2) | 2025.05.29 |
[만성피로 시리즈 6] 하루가 피곤한 이유, 루틴에 있다– 에너지를 지키는 하루 시간표 (1) | 2025.05.27 |